본문 바로가기

참선일지

현빈일규

출처 : 네이버

우리의 전통 선도는 '현묘지도'라고도 불린다. 신라의 대학자  고운 최치원은 유불선을 아우르는 것이 현묘지도라고 했다. 다시 말해 유가와 불가,  그리고 선가의 원리가 모두 '현묘지도'에 내포돼 있다는 이야기다.

 현묘지도의 '현'은 '검은 것' '아득함' '고요함'을 뜻하는 것인데 하늘 또는 우주의 신비로움
을 상징한다. '묘'라는 글자는 하늘과 우주의 신비로움이 '교묘하다'고 해서 덧붙여진 것이다. 따라서 현묘지도란 현묘의 길 도는 현묘를 깨닫는 가르침이라 하겠다.
 
'현묘'를 아는 방법의 키워드는 이른바 현빈일규다. 현빈일규에서 '현'은 곧 하늘을 뜻하고
'빈'은 땅을 의미한다. 현은 양을 상징하고 빈은 음을 나타낸다. '일규'란 '한 구멍'을 말한다.

현빈일규를 한 묶음으로 풀이하면 '천지를 꿰뚫은 한 구멍'이라는 뜻이 된다.  한데 '천지를 꿰뚫은 한 구멍'의 참뜻은 과연  무엇일까. 선도에서 '규' 즉 '구멍'이라는 글자를 수련에 의해서만 열릴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한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혈' 즉 구멍과 엄격하게 구분한다. 따라서 현빈일규의 '일규'는 수련의  결과 얻어진 '한 구멍'을 뜻하는 것이다.

그 한 구멍이 천지를 관통한 것이 바로 현빈일규인  셈이다. 말하자면 하늘기운과 땅기운
이 사람몸 속에서 합일하는 한 구멍을 여는 것이 현빈일규라는 이야기다.

선도수련에선 이 한 구멍이 열리면 백규개통 즉 모든 구멍이 뚫리는 최고의 경지에 들어선다고 가르친다. 석가, 노자, 공자도 바로 현빈일규를 얻음으로써 대도를 이루었다고 한다.

이들 삼성은 결국 '현'으로 표상되는 진기와 '빈'으로 대표되는 진정의  묘합으로 '한 구멍'
을 열어 인류의 스승이 된 셈이다.

'한 구멍'은 안타깝게도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현빈일규엔 이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정도로 수련한다면 그 '한 구멍'이 어느 자리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마치 삶은 달걀을 까보면 오목 들어간 빈 공간이  있듯 분명한 '한 구멍'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 선도에선 이 '한 구멍'을 빈궁 또는  빈부라고도 한다. '기'와 '신'이 머무르고 교감해
오르내림이 그치지 않는 곳이란 뜻으로 그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삼육대례
전통선도의 으뜸가는 공법의 하나는 절하는 것이라고 일컬어진다. (한단고기)의 단군세기에 보면 삼육대례라고 해서 절하는 방법부터 그 의미까지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
은 옛 천제가 어떤 모습의  것인지를 짐작케 한다. 뿐만 아니라  선도의 원류가 무엇인지를
가르쳐 준다.

절공법은 비단 선도수행 뿐만 아니라 불교를 비롯한 여러 종교의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가령, 불교의 '백팔배', '삼천배'라던가  티베트 밀교의 오체투지법 같은 것은 절수행의 정형을 보여 준다.
 
절수행의 참뜻은 세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절을 함으로써 우아일체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종교적인 차원에서 절을 하는 신앙
행위는 하나님과 내가 하나가 되고, 부처님과 내가 하나가 되는 것이라고 일컬어진다.

둘째 절수행은 단전 강화 운동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절을 하기 위해 몸을 수그리면 자연
히 아랫배에 힘이 실리고 결과적으로 단전 자리가 잡힌다.

셋째 절수행을 하여 심신일체가 이루어지면 그 공효 또한  엄청나게 커진다는 점이다. 절
수행을 통해서 나타나는 이른바 유체이탈 같은 것은 그것을 말해 준다.

한데 삼육대례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절법인 동시에 수행법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수행법과
확연히 구분된다.

삼육대례에서 대례는 하늘에 제사 지내는 큰 절을 이르는 말이다. 삼육은 절의 내용과 형
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육은 세 번 절하고 난 다음 여섯 번 절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한다.

첫 번째로 하는 삼배, 즉 세 번의 절은 천지인의  삼신에 경배하는 것이고 나아가서 과거
현재 미래의 삼계에 대한 절이라고 일컫는다.

두 번째로 하는 육배, 즉 여섯 번의 절은 동서남북의  사방과 상하에 경배한다는 뜻을 지
닌다.

삼배와 육배를 합치면 구배가 된다.  구배에서 아홉이라는 숫자는 열에  이르는 완전수와
같은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구배는 성취를 의미하며, 절을 통해 하늘과 사람이 하나됨을 말
해 준다는 이야기이다.

이때의 절은 방법 자체가 특수하다.

첫째 공수, 즉 손잡는 방법은 자해법으로 한다.
둘째 고두, 즉 이마가 땅에 닿도록 머리를 굽혀 절한다.
셋째 절할 때는 완전히 지식, 즉 숨을 끊는다.